#식물보호산업기사 20200822 기출문제풀이/기출문제해설
#식물보호산업기사기출 #식물보호산업기사필기해설 #식물보호산업기사기출풀이
#식물보호산업기사2020년3회차 #식물보호산업기사20200822
1과목 : 식물병리학 |
1. 병원체의 감염, 침입 등의 자극에 의하여 식물체가 파이토알렉신, PR protein 등을 만들어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은?
① 물리적 저항성 ② 정적 화학적 저항성
③ 분주감수성 ❹ 유도저항성
> 유도저항성 : 유전적인 저항성이 아니라,
식물체를 재배하는 과정에서
세균, 바이러스 등의 자극을 받아,
이에 대한 인위적으로 유도한 저항성이다.
2. 주변에 향나무가 많은 경우 배나무에 주로 발생하는 병은?
① 겹무늬병 ② 흰가루병
③ 검은무늬병 ❹ 붉은별무늬병
>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적성병)의 중간기주는 향나무이다.
중간기주란 두 종의 기주식물 중 경제적 가치가 적은 쪽을 말한다.
< 식물 병명/병원균별 #중간기주 정리요약표 >
병 명 | 중간기주 |
배나무 붉은무늬병(적성병) | 향나무 |
사과나무 붉은무늬병(적성병) | |
소나무 혹녹병 | 졸참나무, 신갈나무 |
맥류 줄기녹병 | 매자나무 |
밀 붉은녹병 | 좀꿩의다리 |
잣나무 털녹병 | 송이풀, 까지밥나무 |
소나무류 잎녹병 | 황벽나무, 참취, 잔대 |
소나무 혹병 | 참나무 |
포플러 잎녹병 | 낙엽송, 현호색, 줄꽃주머니 |
(모두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로 출제되었던 기출 문제로, 풀이를 표로 요약한 것입니다!)
3. 기주에서 기생생활을 원칙으로 하나 조건에 따라 죽은 기주에서 부생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것은?
① 임의기생체 ② 순활물기생체
❸ 임의부생체 ④ 부생체
> 임의부생체는 기주에서 기생생활을 원칙으로 하나 조건에 따라 죽은 기주에서 부생적으로 생활할 수 있다.
< #병원균의기생성 >
용어 | 의미 | 병원체 예시 |
절대기생체 (=순활물기생체) (絶對寄生體, obligate parasite) |
인공배양이 불가능하여 살아있는 기주조직 내에서만 증식하는 것 | 흰가루병균, 붉은별무늬병균(적성병균), 노균병균, 무사마귀병균, 녹병균(이 중 맥류 줄기녹병균, 목화 녹병균은 인공배양이 가능하다.) |
임의기생체 (任意寄生體, facultative parasite)) |
살아있는 기간의 대부분을 죽은 유기물에서 부생생활하나 특정조건에서는 살아있는 식물을 침해하여 기생성이 되는 것 | 고구마 무름병균, 잿빛곰팡이병균, 모잘록병균 등등 |
임의부생체 (任意腐生體 facultative saprophyte) |
기생을 원칙으로 하지만 조건에 따라 죽은 유기물에서도 영양섭취 및 생활이 가능한 것 | 감자 역병균, 배나무 검은별무늬병균, 깜부기병균 등등 |
절대부생체 (=순사물기생체) (絶對腐生體, obligate saprophyte) |
죽은 유기물에서만 영양섭취 및 생활이 가능한 것 | 목재 심부썩음병균 |
4. 매개층의 알을 통하여 다음 대까지 바이러스가 옮겨지는 병은?
❶ 벼 오갈병 ② 감자 잎말림병
③ 오이 모자이크병 ④ 오이 녹반모자이크병
> 벼 오갈병은 곤충에 의해 경란전염된다.
경란전염 : 매개충의 알을 통해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다음 대로 전염되는 것
< #곤충에의해전염되는병 >
매개충 | 병 명 | 병원 |
끝동매미충, 번개매미충 | 벼 오갈병 | 바이러스 |
애멸구 | 벼 줄기무늬 잎마름병 | 바이러스 |
광릉긴나무좀 | 참나무 시들음병균 | |
담배장님노린재 | 오동나무 빗자루병 | 파이토플라즈마 |
마름무늬매미충 | 대추나무 빗자루병, 뽕나무 오갈병 |
파이토플라즈마 |
5. #사과나무부란병 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① 세균 ❷ 진균
③ 바이러스 ④ 파이토플라스마
> 사과나무 부란병은 가지를 전정할 때 생긴 상처를 통해 진균(자낭균류)이 침입하여 줄기나 가지가 썩는 병이다.
사과나무 부란병을 유발하는 자낭균(子囊菌)은 병포자(柄胞子)나 자낭포자(子囊胞子)의 형태로 병든 가지에서 월동한다.
병든 부위의 껍질이 벗겨지고 알코올 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수피에 주황색 포자가 관찰된다.
6. 다음 중 비기생성 성질의 병은?
① 배추 무름병 ② 사과나무 검은별무늬병
❸ 토마토 배꼽썩음병 ④ 담배 불마름병
> 토마토 배꼽썩음병은 Ca칼슘 결핍에 의한 병이다.
< 무름병 >
Erwinia carotovara subsp. carotovara
:그람음성균, 통성형기성 간상세균, 4~5개의 편모을 가진다.
고체배지에서 불규칙한 회백색 콜로니 형성,
펙틴분해효소(펙티나제, Pectinase)를 만들어 내어 식물조직을 분해하여 삼투압에 변화를 유발한다. 이로 인해, 기주세포의 원형질분리가 일어나 고사한다.
< #검은별무늬병 (黑星病,Scab) >
Venturia inaequalis
: 잎, 가지, 과실에 발생한다. 잎에는 처음 갈색 내지 녹갈색의 반점이 생기고, 그 뒷면에는 흑녹색의 포자가 생기며, 병반부는 고사, 탈락한다.
가을에 균사체를 형성한 후 4주 이내에 대부분의 자낭각이 형성되고, 동면기 후에(온도 0℃) 자낭각은 계속해서 성숙하며 자낭과 자낭포자가 발달한다.
자낭포자를 방출하고 바람에 의해 분산되어 1차 감염이 시작된다.
균이 일단 큐티클층을 통과하면 육안으로 보이는 병반상에 분생자경,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분생포자는 여름철 병 발생의 주요 전염원이 된다.
7. 다음 중 법적 방제법에 해당하는 것은?
① 포장위생 ❷ 식물검역
③ 종묘소독 ④ 비배관리
> 식물검역은 국가적 차원, 나머지는 개인적으로 실행 가능한 방제법이다.
8. 균류유사체에 속하는 병원균에 의해 산성토양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해는?
① 배추 무름병 ② 토마토 풋마름병
❸ 배추 무사마귀병 ④ 대추나무 빗자루병
< 토양 산성도에 따른 병 발생 >
산성토양 | 알칼리성토양 |
배추,무 무사마귀병, 목화 시들음병, 토마토 시들음병 |
감자 더뎅이병, 가지과 풋마름병, 침엽수 모잘록병, 목화 뿌리썩음병 등등 |
9. 감염되면 식물체의 모든 부위에 병징이 나타나는 병은?
① 벼 깨씨무늬병 ② 사과 탄저병
❸ 담배 모자이크병 ④ 인삼 점무늬병
< 바이러스 병징의 특징 >
왜소, 위축, 모자이크, 잎말림 등의 병징이 전신에 퍼져 전신병징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 국부병징 :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병징.
ex) 담배 모자이크병 - 담배 모자이크아이러스(TMV, tobacco mosaic virus) : 세계에서 최초로 발견된 바이러스. 글루티노사종 담배에 접종시 국부반점
- 외부병징 : 모자이크, 변색, 위축, 기형, 왜화, 괴저, 암종, 돌기 등
ex) 잎말림 - 오갈병
- 내부병징 : 엽록체 수 및 크기 감소, 내부조직괴사
- 병징은폐 :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지만 병징이 나타나지 않는 현상
10. 다음 중 병원체가 기주식물이 없어도 오랫동안 전염원으로서 생존이 가능하며 기주식물을 연작할 경우 그 피해가 증대해 방제하기가 가장 어려운 병해는?
① 종자 전염성 병해 ② 공기 전염성 병해
❸ 토양 전염성 병해 ④ 충매 전염성 병해
> 연작하면 토양에 있던 병원균의 밀도가 증가하면서 병 발생이 증가하여 방제가 어려워진다.
11. 병원체가 기주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기생성 ② 감수성
❸ 병원성 ④ 저항성
- 병원성 : 병원체가 기주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
-
12. 벚나무 빗자루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어디에 속하는가?
① 세균 ❷ 진균
③ 바이러스 ④ 파이토플라스마
> 벚나무 빗자루병은 타프리나 비에스네리(Taphrina wiesneri)라는 진균(곰팡이)의 감염에 의해 나타나는 병해로, 감염된 나무는 가지 일부분이 혹모양으로 부풀고 잔가지가 빗자루 모양으로 많이 나오는 특징을 보인다.
13. 병 진단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바이로이드병의 진단에는 지표식물은 이용되지 못한다.
② 바이로이드 진단에는 RNA 전기영동법이 이용된다.
③ 감자의 바이러스 감염은 괴경지표법으로 검정할 수 있다.
④ 사과나무 자주날개무늬병은 고구마를 심어 검정한다.
14. 다음 중 병원체가 가지고 있는 플라스미드의 T-DNA 부분이 식물 세포로 이행하여 뿌리 혹병을 일으키는 것은?
❶ Agrobacterium tumefaciens
② Xathomonas campestris
③ Streptomyces scabies
④ Pseudomonas putida
>
- Agrobacterium tumefaciens :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페시엔스. 뿌리 혹병
- Xathomonas campestris : 잔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 배추 검은썩음병
- Streptomyces scabies : 스트렙토마이시스 스카비에스. 방선균의 일종. 감자 더뎅이병(창가병 瘡痂病, potato scab)
- Pseudomonas putida : 슈도모나스 퓨티다. 토양, 물, 또는 식물에서 흔히 서식하는 균종으로 형광(螢光)을 발한다. 임상검체에서 자주 분리되며 때때로 기회감염을 일으킨다.(c.이우주 의학사전)
15. 다음 중 물에 의해 전파되는 병으로 가장 옳은 것은?
❶ 벼 흰잎마름병 ② 밀 줄기녹병
③ 밀 붉은녹병 ④ 보리 속깜부기병
>
< 병원체와 전반수단 >
병원체 | 전반수단 |
벼 흰잎마름병 | 바람, 물 |
밀 줄기녹병 | 바람 |
밀 붉은녹병 | 바람(수포자(銹胞子)) |
보리 겉깜부기병 | 바람(후막포자) |
감자 둘레썩음병 | 영양번식기관(괴경) |
오이 세균성시들음병 | 곤충 |
16. 다음 중 비전염성인 병은?
① 선충에 의한 병 ❷ 영양결핍에 의한 병
③ 세균에 의한 병 ④ 바이러스에 의한 병
17. 식물에 병원균이 침해되어도 전혀 병 발생이 없는 것은?
① 저항성 ❷ 면역성
③ 감수성 ④ 내병성
18. 바이러스병의 진단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효소결합항체법 ② 봉입체 관찰
❸ 지방산 분석 ④ 한천겔확산법
>
< #바이러스병진단법 >
#식물바이러스병진단법 에는 지표식물 이용, 전자 현미경 관찰, 항혈청반응 이용법, 핵산 분석 등이 있다.
- 혈청학적 진단법: 바이러스 진단방법이며, ELISA법(효소결합항체법. 면역학적 진단방법), 슬라이드법, 형광항체법, 적혈구응집반응법, 한천겔확산법AGID), 직접조직프린트면역분석법(DTBIA) 등이 있다.
- 생물학적 진단법 : 지표식물 진단법,
괴경지표법, 채아법, 박테리오파지법, 즙액접종법, 협촉반응법, 유전자법 등
- 괴경지표법 : 씨감자 중에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을 선별하여 도태
- 해부학적 진단법: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직에 있는 병원균의 존재와 형태를 관찰하여 진단한다. 유출검사법, 그람염색법, 침지법(DN), 초박절편법(TEM), 면역전자현미경법, X체 검사법 등이 있다.
19. #감자잎말림병 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① 세균 ② 진균
③ 선충 ❹ 바이러스
> 감자 잎말림병의 병원체는 바이러스인 Potato Leaf Roll Virus(PLRV)이다.
20. 발병에 영향을 주는 세 가지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병원체 ② 감수성식물
③ 환경 ❹ 시간
>
< #식물병삼각형 #식물병사면체 >
주인 - 병원체 / 소인 - 감수성 식물 / 유인 -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