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농업 ( agriculture, farming, 農業)
: 인간이 일정한 목적에 따라 체계적, 영리적으로 토지를 이용하는 생산활동을 말한다.
- 농업은 작물을 재배하는 경종과 가축을 기르는 양축을 이용한 영리 목적의 인간 활동을 총칭한다.
-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식물을 가꾸거나, 유용한 동물을 기르거나 하는 산업. 또는 그런 직업. 특히 농경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고, 넓은 뜻으로는 작물 재배, 가축 사육과 더불어 낙농업, 임업 따위도 포함한다.
2. 재배 ( = 경종 耕種, cultivation, plant culture, 栽培)
- 인간이 농지를 이용해 작물을 기르고 수확하는 경제적 행위.
- 작물(crop, cultivated crop, 作物)이란 식물 중 이용성과 경제성이 높아서 식료, 의료, 공예, 약료 등 인간의 목적에 따른 재배대상이 되는 식물을 할한다. 즉, 작물은 논밭에 심어 가꾸는 곡식이나 채소 따위로, 경작식물 혹은 재배식물이라고도 한다.
- 산림, 관상용 식물은 이용성 및 경제성이 높지만 발달정도, 재배방식 및 이용 분야가 상이하기 때문에 일반 작물과는 별개의 분야로 취급한다.
- 작물은 본래 야생식물에서 인간에 의해 특수한 환경에 순화된 식물이다. 다시 말해, 인간이 선발과 육종을 통해 개량, 보호하는 일종의 기형종이라 할 수 있겠다. 작물은 야생식물과 비교했을 때, 생존력이 약하여 관리가 필요하다.
- 인간이 필요로 하는 종실, 잎, 과실, 줄기, 뿌리 등의 부분만 발달되어, 원래의 야생식물과 현저히 달라진 형태적 특성과 생리적 특성을 지닌다. 인간의 이용목적에 맞지 않고 불필요한 부분은 퇴화되었다.
- 경합능력과 환경적응력이 낮고, 이용부분만 비정상적으로 커졌다. 야생종은 탈립성이 좋고 종자 산포 능력이 좋아 번식에 유리한 반면에, 작물은 탈립성이 약하다.
- 기원이 오래 되었고, 야생종으로부터 순화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재배종 | 야생종 | |
휴면성 (休眠性, dormancy) | 약하다 | 강하다 |
종자 크기 | 크다 | 작다 |
종자 수 | 많다 | 적다 |
탈립성 (shattering habit) | 어렵다 | 쉽다 |
수명 | 짧다 | 길다 |
까락 | 없거나 짧다 | 강인하고 길다 |
내비성 | 강하다 | 약하다 |
- 작물의 재배이론
- 작물 수량의 삼각형 / 최대수량을 위한 삼각형 모델 - 수량은 "재배환경, 유전성, 재배기술"에 의해 결정된다.
- 영리 목적으로 하는 작물을 키우는 산업이므로, 단위토지면적당 생산량(수량) 증대, 생산비 절감을 통해 소득을 극대화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축산 ( = 양축 ( livestock rearing, 養畜), livestock production, animaml husbandry, 畜産)
- 동물 중 이용성과 경제성이 높아서 인간의 목적에 따른 재배대상이 되는 동물을 할한다.
- 재배와 축산의 공통점은 모두 유기생명체를 기르고 생산한다는점, 인간의 식료로 이용되고 인간 영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1. 재배의 기원
1) 원시축산 및 원시농경의 발생
- 인구증가와 안정적인 식량 확보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발생하였다.
- 어업과 목축업의 발생 시기는 약 1만2천년 ~ 2만년 전 중석기 시대, 농경의 발생은 약 1만년 ~ 1만2천년 전 신석기 시대로 추정되고 있다.
- 자연 식물의 뿌리, 잎, 종자, 과실 등을 채취하였으며, 높은 이용가치가 있는 식물로 원시농경이 시작되었다.
- 원시축산은 유목에서 정착축산으로 발전되어 왔다. 다루기 쉽고 유순한 성격을 가졌으며, 건강하고 번식력, 이용가치가 높은 동물로 시작되었다.
2) 농경의 발상지
- De Candolle(1884)의 큰 강 유역설 : 주기적으로 강이 범람하여 토지가 비옥해졌다고 추정했다. 큰 강 유역이 농경지로 유리하여 원시 농경의 발상지였을 것이다.
EX) 중국의 황허강, 양자강 유역의 벼 재배 / 인도문명 - 인더스강 / 이집트문명 - 나일강 유역
- N.T Vavilov(1926)의 산간부설 : 큰 강 유역의 범람은 농업이 침관수로 인해 파멸 우려가 있다. 따라서, 최초 농경이 정착하기에 힘들여, 기후가 온화한 산간부 중 관개수 확보에 용이한 곳이 농경의 발상지라 주장하였다.
EX) 마야문명, 잉카문명
- P. Dettweiler(1914)의 해안지대설 : 해안지대는 기후가 온화하고 토지가 비옥하며, 토양수분도 넉넉하기 때문에 농경의 발상지였을 것이다. 해안지대에서는 어렵이 가능하고 반농반업으로 어업과 농업을 병행할 수 있다.
- 문명 발상지별 재배 작물 종류
- 황하문명 : 중국 황하 중하류지역
- - 6조보리, 조, 피, 메밀, 콩, 팥, 마, 인삼, 배추, 자운영, 동양배, 감, 복숭아 등등
- 인도문명 : 파키스탄 서쪽 인더스강 연간의 신드지방 라르카나지구 중심 + 동남아시아
- - 벼, 참깨, 오이, 가지, 생강, 사탕수수, 등등
- 메소포타미아문명 : 티그리스강, 유프라테스강 유역
- - 2조보리, 보통밀, 호밀, 유채, 아마, 마늘, 시금치, 사과, 서양배, 포도 등등
- 이집트문명 : 기원전 6천년 경 나일강 유역 + 중앙아프리카
- - 진주조, 수수, 강두(광저기), 수박, 참외 등등
- 마야문명 : 중앙아메리카 멕시코 남동부, 과테말라, 유카타반도 등
- - 옥수수, 강낭콩, 고구마, 해바라기, 호박, 후추, 육지면, 카카오 등등
- 잉카문명 : 남아메리카 안데스지대의 페루 중심
- - 감자, 담배, 땅콩, 토마토, 고추 등등
--> 바빌로프 (N.T Vavilov)에 의한 분류로, 다음 포스팅에 표로 정리.
2. 재배 형식
- 소경 : 약탈농업과 유사한 원시적 재배형식으로, 괭이나 굴봉을 이용해 파종 후 별도의 비배관리를 하지 않고, 토지가 척박해지면 이동하는 방식이다.
- EX) 서류, 두류, 채소, 옥수수, 기장, 조
- 식경 : 식민지나 미개척지에서의 기업적 농업 형태이다. 원주민을 사역해서 넓은 토지에 단일작물을 경작하여 대량 생산하는 형태이다.
- EX) 커피, 고무나무, 코코아, 담배, 차, 사탕수수 등 기호료작물
- 곡경 : 비교적 넓은 면적에서 기계를 이용해 대규모로 곡류 위주의 재배 형식이다.
- EX) 벼, 밀, 보리, 옥수수
- 포경 : 사료작물과 식량작물을 균형있게 재배하여 작물 재배와 가축 사양을 함께 실시하는 농경 형태이다. 대표적인 사료작물인 콩과작물을 경작하고 가축의 분뇨를 천연비료로 활용하여 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 EX) 식량작물 - 감자, 밀, 보리 / 사료작물 - 귀리, 클로버
- 원경 : 엽채, 근채, 경채 등의 채소류와 과수류, 화훼류 등의 원예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으로 가장 집약적인 재배형태이다. 보온육묘, 보온재배, 관개, 시비를 통한 지력보강 등의 기술이 발달되었으며, 도시근교에서 발달된 근교농업이다.
3. 작부 형식
- 이동경작 (천연농법) : 유목(유랑농업)에서부터 정착 초기의 약탈농업 시기까지의 작부 형태로, 대전법을 기반으로 파종, 유목, 귀전, 수확 후 지력이 소모되면 이동한다.
- 대전법 : 농작물의 연작을 피하고, 일정한 간격과 일정한 폭의 고랑과 두둑을 만들어 매년 작물을 교체하는 재배법.
- 휴한농법 : 이동경작에 의학 지력소모를 회복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매 해 작물을 연작하지 않고 쉬었다가 재배하는 농법으로, 삼포식 농법이 있다.
- 삼포식농법 (three course rotation, three field system, 三圃式農法) : 전체 경작지를 3분할하여 2/3는 경작하고 1/3은 휴한을 한 해에 거쳐 휴경지를 번갈아 돌려가며 지력을 회복하는 재배방식.
- 개량 삼포식농법 : 콩과작물 (두류)의 순환농법 - 휴한지에 클로버, 알파파, 베치류, 자운영, 대두 등 콩과작물을 재배하여 근류균에 의한 공중 질소를 고정함으로써 지력을 회복할 수 있다. 흔히, 헤어리베치(hairy vetch), 자운영이 이용된다.
'농학 전공 > 재배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농업 특징 및 형태 + 농업 현황 통계 (0) | 2021.11.10 |
---|